
넷플릭스가 요즘 정말 많이 떨어졌어요 고점 대비 40%나 하락을 했어요.어제 종가로는 27% 정도 하락이었는데, 실적 발표 후에는 애프터 마켓에서 된서리를 맞고 있군요.

분명히 매출은 올랐는데 주당 순이익은 처참하게 무너졌어요. 그래도 예상치보다 높게 나왔네요.
과거에 주당 순이익이 높게 나와서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주당 순이익이 낮게 나오네요.넷플릭스가 OTT의 선두 주자인 것은 확실하지만, 몇 가지 불안 요소가 있습니다.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디즈니+는 검증된 콘텐츠가 압도적으로 많으므로 디즈니에 밀리는 것입니다.
디즈니가 애니메이션만 만드는 회사가 아닙니다. 디즈니 안에 마블과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영화와 다큐멘터리도 있어요
하지만 넷플릭스의 투자 방식은 기존 회사와 다른 방식을 보입니다.
대규모 투자를 하기 위해서 회사에서 안건으로 지정을 하고 회의를 하고 스토리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결재를 받는 방식이 아니라 직원 중 한 명이 성공할 것 같으면 그냥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스토리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장점은 확실한 스토리에 투자가 있고 회사에서 흥행을 위해 어느 정도 숨을 고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이 항상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요.
단점은 불확실한 장르나 스토리에 대해 경험이 많은 사람이 최종 결정을 하지만 경험이 많다는 의미는 혁신이나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고 새로운 변화에 반응이 느릴 수도 있습니다.
아이폰이 공개되기 몇 년 전 노키아 개발팀은 스마트폰을 만들었지만 CEO가 폐기시켰습니다.
그리고 성과에 대한 성과금이 없습니다. 단지 투자금을 내고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겁니다.완성된 작품의 흥행 여부에 따른 성과금이 없는 것은 극장에서 개봉해 정확한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독자가 늘어나거나 이탈하지 않고 구독료를 받는 시스템 때문입니다.근데 오징어 게임이 유행할 때 늘어난 구독자가 100% 오징어 게임으로 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어요
이곳의 장점은 가능성만 보고 무엇이든 투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공한 작품에 대해 보너스를 지급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른 실패한 작품의 손실을 메울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작가나 감독 입장에서는 만들 수도 없는 작품에 금전적 투자와 스토리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디즈니가 수십 년 동안 누적된 콘텐츠는 어마어마합니다.하지만 미래에 넷플릭스가 만들어 갈 오리지널 콘텐츠도 무시할 수 없을 것 같아요.디즈니는 각국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 최근이지만, 넷플릭스는 몇 년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또 디즈니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애니메이션과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이라는 장르가 한정되어 있지만 넷플릭스는 장르 구분이 없으며 오리지널 콘텐츠 외에 다른 영화사와 제휴를 통해 공급도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디즈니에서는 귀멸의 칼날을 절대로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넷플릭스의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그리고 최근 한국을 비롯한 북미권에서도 가격인상을 하고 있습니다.가격인상을 한다는 것은 소비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내용이지만 주주입장으로서는 좋은 소식이군요.회사의 이익이 올라가니까요.요금을 10% 인상했을 때, 10%의 고객이 이탈하면 결국 원점입니다. 하지만 10% 인상으로 10% 고객 이탈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언론에서는 부정적인 기사가 많은데요.게다가 오징어 게임 같은 작품이 한두 개 히트하면 그 10%도 돌아옵니다.
인도에서는 50% 가격을 인하했는데 이는 시장의 특성상 취한 전략적 선택입니다.인도의 인구 대비 넷플릭스 구독자는 소수점이고 인도의 평균 개인경쟁력을 감안할 때 1/2 가격으로 내려 구독자가 2배 이상 올라가면 이득입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넷플릭스에 대한 투자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비싼 가격이 문제였는데 최근 많이 하락해서 가격도 내렸어요.
그래도 아직 P/E가 높네요. 테슬라에 비하면 낮은데요?
기업 성장성은 있지만 금리 인상 이슈 때문에 P/E가 높은 기업은 투자하기 어렵죠.최근 하락한 이유는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금리 인상에 대한 전반적인 하락 때문입니다.
물론 최근 가격 인상 때문에 부정적인 기사가 나오고 있지만 가격 인상으로 가입자 이탈이 심하다는 기사가 없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주주에게는 호재입니다.
실적발표에 아직 구독료 인상분에 대해서는 반영도 안됐거든요. 다음 분기의 실적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과거에는 이런 그래프가 없었던 것도 아니에요.


30% 이상 하락한 적이 15년과 18년에 있었어요
하락할 때 살 수 없는 주식은 상승할 때도 살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