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7월 기준 * 사진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나무위키, 위키백과 * 내용출처 : 나무위키(항성, 행성, 왜소행성), 네이버 지식백과(왜소행성)
- 알아야 할 – 내행성 :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는 행성. – 지구형 행성 : 암석, 금속 등 밀도 높은 물질로 구성된 행성. – 외행성 : 지구 바깥쪽에 있는 행성. – 목성형 행성 : 수소, 헬륨과 같은 기체나 물, 메탄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로 구성된 행성. – 외행성 : 지구 바깥쪽에 있는 행성 : 수소, 헬륨과 같은 기체나 물, 메탄 등의 액체 상태의 물질로 구성된 행성.- 소행성 : 왜소행성보다 작은 천체.- 혜성 : 가스로 이루어진 대기층과 꼬리로 이루어진 천체.- 소행성대 : 화성과 목성 사이에 소행성이 모여 있는 곳 – 카이퍼대 : 해왕성 공전궤도 바깥쪽에 천체가 모여 있는 곳
- 1) 항성1) 태양 (Sun)
기호: 区分구분: 항성(G형 주계열 별) 직경: 1,392,684 ± 130km (지구의 109배) 질량: 1.98855×1030kg (지구의 33만배) 태양기준거리: 0AU 공전주기: 2억~2억5,000만년 자전주기: 약 27일 6시간 (위도에 따라 자전온도 주기 상이)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위치한 항성으로, 태양계를 구성하는 모든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태양은 핵 복사층 대류층 광구 채층 코로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홍염(유지보수), 흑점 플레어 태양풍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2) 행성1) 수성 (Mercury)
기호: 区分구분: 내행성, 지구형 행성직경: 4,879.4km 질량: 3.023×10^23kg 태양 기준거리: 0.387098 AU 공전주기: 87.9691 일평균 온도: 390K 위성: 0개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일출과 일몰 때 관찰할 수 있지만 태양과 매우 가까워 관측이 어렵다. 또 질량은 지구보다 매우 작지만 밀도는 지구와 거의 비슷하다.
2) 금성 (Venus)
기호 : ♀ 구분 : 내행성, 지구형 행성경 : 12,103.7 km 질량 : 4.869×10^24 kg 태양 기준거리 : 0.72332 AU공전 주기 : 224.701 일자전 주기 : 0.7232 kg 태양 기준거리 : 0.7232 AU공전 주기 : 0개 평균 : 243.731 일자전 주기 : 0개
금성은 태양계에서 평균기온이 가장 높고 유일하게 공전주기가 자전주기보다 짧은 행성이다. 대기는 대부분 이산화탄소, 지표기온은 459도, 평균풍속은 360m/s(태풍 매미 평균풍속 50m/s)로 온실효과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3) 지구 (the Earth)
기호: 区分구분: 지구형 행성 직경: 12,756.25 km 질량: 5.9736×10^24 kg 태양 기준거리:1.00000102 AU 공전주기: 365.25641 일자전주기: 23시간56분4.1초 평균온도: 288K 위성:1개(달(Moon))
지구는 지구형 행성 중 가장 무거운 행성이며 현재 생명체 존재가 유일하게 명확하게 확인된 행성이다.달은 지구의 위성 중 태양에 가장 가까운 위성이다.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같고 지구에서는 달의 한쪽 면만 보인다.
4) 화성 (Mars)
기호 : ♂ 구분 : 외행성, 지구형 행성경 : 6,779.0±0.2 km 질량 : 6.4174×10^23 kg 태양 기준거리 : 1.523679AU공전 주기 : 686.971 일자전 3771 kg 태양 기준거리 : 1.5236kg 태양 기준거리 : 1.523679AU 공전 주기 : 데이모스 포덴 주기 : 686.971 일자전 주기 : 24시간
화성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천체 중 달과 금성 다음으로 밝은 행성으로 과거 물이 흐른 흔적이 있다.포보스와 데이모스는 화성의 위성으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포보스는 미래적으로 산산조각이나 화성의 고리를 형성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5) 목성 (Jupiter)
기호: 区分구분: 외행성, 목성형 행성(거대 가스 행성) 직경: 142,984km 질량: 1.899×10^27kg 태양 기준거리: 5.20260AU 공전주기: 약 11.8618년 자전주기: 약 9시간55분 평균온도: 165K 위성: 79개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등)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가장 부피가 크고 무거운 행성이다. 대적반이라는 거대한 소용돌이가 남반구에 있고 먼지로 된 고리가 4개 있다.목성의 위성은 2018년 기준으로 79개로 더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수성보다 큰 위성도 있어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가 대표적인 목성의 위성으로 갈릴레오 위성으로 불린다.
6) 토성 (Saturn)
기호: 区分구분: 외행성, 목성형 행성(거대 가스 행성) 직경: 120,536km 질량: 5.6846×10^26kg 태양 기준거리: 9.554909 AU 공전주기: 29.4571년 자전주기: 10시간 33분 38초 평균온도: 134K 위성: 82개(타이탄, 엔셀라두스 등)
토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고리를 가진 행성으로 고리는 얼음덩어리와 돌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 토성에서는 대백반과 용의 폭풍이라는 현상도 일어난다.토성의 위성은 올해 20개가 무더기로 발견돼 82개로 태양계에서 가장 많고 어떤 위성은 토성 고리 사이에 있다. 토성의 위성 가운데 엔셀라두스에서는 바다가 발견되기도 하고 유로파에도 바다가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기도 했다.
7) 천왕성 (Uranus)
기호: 区分구분: 외행성, 목성형 행성(거대 얼음 행성) 직경: 51,118km 질량: 8.6832×10^25kg 태양 기준거리: 19.2184AU 공전주기: 84.0205년 자전주기: 약 17시간 14분 24초 평균온도: 55K 위성: 27개(미란다, 치타니아 등)
천왕성은 태양계 중 유일하게 옆으로 누워 자전하는 행성으로 고리도 세워져 있다. 기상현상은 눈으로 관측되지 않았지만 최근 강력한 폭풍이 관측됐다. 천왕성의 위성은 현재 27기가 발견되고 있다.
8) 해왕성 (Neptune)
기호: 区分구분: 외행성, 목성형 행성(거대 얼음 행성) 직경: 49,244±38km 질량:1.02413×10^26kg 태양 기준거리:30.33AU 공전주기: 164.8년 자전주기: 16시간6분36초 평균온도: 72K 위성: 14개(트리톤 등)
해왕성은 태양계 가장 바깥쪽에 있는 행성으로 연구가 거의 안 된 행성이다. 위성은 현재 14기가 발견되고 있다.
3. 왜소행성(Dwarf Planet) 행성 같지만 행성보다 작은 태양계의 천체로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태양을 중심으로 한 공전궤도를 갖는다.- 구형의 모습을 가질 수 있을 만큼의 중력과 질량을 가져야 한다. – (궤도) 주변의 다른 천체에 일정한 지배(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현재 모두 5개의 왜소행성이 있다.
- 세레스(Ceres)
기호: 区分 구분: 왜소행성, 소혹성 대천체 직경: 946km 질량: 9.4×10^20kg 태양 기준 거리: 2.7675AU 공전 주기: 1681.63일 전 주기: 9.07417 시간 평균 온도: 168K 위성: 0개
세레스는 최초로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공식 명칭으로는 1세레스(1 Ceres)다.
2) 명왕성 (Pluto)
기호: 区分구분: 왜소행성, 카이퍼 대 천체직경: 2,380km 질량:1.305×10^22kg 태양 기준거리: 39.482AU 공전주기: 90,560일 전주기: 6.387230 일평균 온도: 44K 위성: 5개(카론 등)
명왕성은 과거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이었지만 행성이라기엔 너무 작아 명왕성보다 큰 천체가 발견됐고 결국 2006년 왜소행성으로 분류됐다.명왕성 위성은 지구에서 명왕성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발견이 늦어져 현재 5개의 위성이 있다.
3) 엘리스 (Eris)
상상도 (오른쪽 아래의 작은 천체는 위성 디스노미아) 기호: – 구분: 왜소행성, 카이퍼 대 천체직경: 2,326km 질량: 1.67×10^22kg 태양 기준거리: 67.781AU 공전주기: 558.04년 자전주기: 약 25.9시간 평균온도: 42.5K
엘리스는 2005년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알려진 왜소행성 가운데 명왕성 다음으로 크고 가장 무겁다. 디스노미아라는 위성이 있다.
4) 마케마케 (Makemake)
상상도 기호: – 구분: 왜소행성, 카이퍼 대천체 직경: 약 1,430kg 질량: 확인할 수 없음 태양 기준거리: 45.781AU 공전주기: 309.09년 자전주기: 22.8266시간 평균온도: 약 38K위성:1개(S/2015(136472) 1(임시명칭))
마케마케는 2005년 왜소행성 중 마지막으로 발견된 천체이지만 왜소행성에는 네 번째로 분류됐다. 2015년에 위성이 발견되었다.
5) 하우메아 (Haumea)
상상도 (좌상과 우하 2개의 천체는 위성 희이적색 (우하)과 나마카 (좌상)) 기호: – 구분: 왜소행성, 카이퍼 대천체 직경: 2,322 × 1,701 × 1,138 km 질량: 4.01 × 10^21 kg 전: 왜소행성, 카이퍼 대천체 직경: 2,138 km 항성: 1,138 km 질량: 1.08 km 주기: 4.01 5개 : 4.01 5개, 주기: 4.01 5개 : 4.01 5개 : 4.01 5개, 주기: 103.01 5개 :
하우메아는 2005년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2020년 기준 마지막으로 왜소행성으로 분류됐다. 2개의 위성을 갖고 있으며 2017년에 고리가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