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의 세계! 저희는… [제4차 산업혁명] 곧 이루어질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차입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은 어느 정도의 속도로 진행되고 있을까요?

미국의 GM 등 기존 자동차 기업뿐 아니라 구글과 애플 등 IT 기업들도 자율주행차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세계 자율주행기술력 1위 기업은 IT기업 구글 소유 자율주행차 회사 ‘웨이모’로 불리기도 합니다. 미국의 전기 자동차 메이커, 테슬라가 리드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웨이모는 2019년 피닉스 시 일대에서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택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구글과 애플 등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산업에 뛰어든 이유는 모빌리티 플랫폼 산업 때문입니다. 미래의 자동차산업은 ‘전기차+자율주행차+모빌리티 플랫폼’이 연동되는 산업이기 때문입니다. 모빌리티 플랫폼은 나중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미국의 IT기업까지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에 힘쓰고 있는 동안에 일본의 자동차 메이커 혼다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에다 초점을 맞추고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고, 중국은 상하이와 베이징 등 10대 도시에서 자율주행버스를 시험운행하여 기술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민주주의 국가에 비해 훨씬 느슨한 규제 아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중국이 무서운 이유입니다.

자율주행 테스트 때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으며, 수천만 대의 CCTV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도 비교적 자유롭게 빅데이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3단계 자율주행은 2022년 이내에 상용화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5단계 완전 자율주행은 2027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자율주행을 채용하는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다.’ – 바이두 왕징 부사장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에 인공지능과 IT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융합산업입니다.

기존 자동차산업의 본질을 바꾸는 진정한 4차산업혁명 분야라 기업으로서는 사활을 걸 수밖에 없습니다. 기업의 국적을 떠나 경쟁을 선도하기 위한 합종연횡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미국 기업 GM이 인수한 크루즈에 일본 기업 혼다가 일시적으로 투자했습니다. 미국 기업 포드가 인수한 아르고 AI에 독일 기업 폴크스바겐이 일시적으로 투자했습니다.

미국 기업의 우버에는 도요타, 소프트뱅크 등의 일본 기업이 일시적으로 투자하고, 미국의 자율주행기술회사 앱티브에 한국의 현대자동차가 일시적으로 투자했습니다.

그런데 2020년 초 구글의 웨이모를 제치고 자율주행차 개발 선두로 나선 기업은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기업이 아닌 테슬라였습니다.

이 상황에서 ‘국내는 자율주행 테스트에 제약이 많아 연구개발이 어렵고 인공지능 연구 인력도 부족하다’는 기사 내용에 안타까운 시선을 던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택시 운전사의 생존권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도 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이렇게 급변하는 사회에서 덧셈 뺄셈을 빨리 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일까요? <코로나19 이후의 미래사회 공부법> 책의 Part4에는 미래사회에 대한 핵심능력이 무엇인지를, Part5에는 초등학교 각 학년별 공부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정리해 두었습니다. 현명하게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세요. 홧팅!

error: Content is protected !!